오늘은 무생채 황금레시피 & 무생채 만드는법 에
대하여 포스팅하겠습니다.
무 제철은 10월에서 12월인데
김장철때 무를 많이 사놨다가
무청은 잘라서 시래기로 만들어 놓고
무는 신문지로 잘 포장한 다음 아이스박스에 보관하면
바람이 들지도 않고 얼지 않아서
겨울내내 귀중한 식재료로 사용할수 있어서 좋습니다.
딱히 뭘 먹어야하나 고민하고 있다면
무생채 를 만들어 보는건 어떨까요.
레시피도 복잡하지 않고 간단해서 오케이!!
반찬거리로 요긴하게 만들 수 있어서 좋답니다.
무생채 황금레시피
재료 : 무 반개 정도
무 절일때 : 꽃소금 2티스푼, 설탕 2큰술
양념 : 고춧가루 2큰술, 액젓 0.5큰술, 다진대파 1큰술, 다진마늘 1큰술, 식초 1큰술,
다진생강 1티스푼, 통깨 약간
무생채 만드는 법
1. 무를 최대한 가늘게 채썰어 놓습니다.
채칼을 사용해도 되자만 저는 칼로 썹니다.
얇게 썬다고 썰었는데 굵게 썰어졌습니다.
어쩔수가 없습니다. 그래도 맛있게 만들어야 합니다.
2. 채썰어 놓은 무에 소금과 설탕을 넣고 10분 정도 절입니다.
3. 절여 놓으면 물이 생기는데 따라냅니다.
4. 무에 색을 내기위해 먼저 고추가루 1큰술을 넣고 버무려서 10분정도 기다립니다.
5. 빨갛게 고추가루 색이 들었으면 나머지 양념들을 넣어줍니다.
(고춧가루 1큰술, 액젓 0.5큰술, 다진대파 1큰술, 다진마늘 1큰술, 식초 1큰술,
다진생강 1티스푼)
6. 마지막으로 통깨를 뿌리거나 깨소금을 뿌려줍니다.
무생채 완성!! 입니다.
무생채는 만들어서 바로 먹는것보다는
냉장고에 하루 정도 시원하게 보관했다가 먹으면
더 맛있다는 거 아십니까.
무생채 를 만들어 놓으면
간단한 비빔밥 버전으로
밥에 무생채 를 푸짐하게 넣고 계란후라이에
고추장(매실액 약간 첨가)에 참기름 넣고 비벼 먹어도 정말 맛있거든요.
아무튼 무생채 는 비빔밥에 넣어주면
약방에 감초처럼 빠지면 섭섭할 정도로 큰역할을 합니다.
밥이랑 무생채 랑 상추 몇장이랑 된장찌개를 해서 함께 비벼먹어도 좋구요.
늦가을에 수확한 무라서 그런지 새콤달콤!
식초를 넣어서 그런지 새콤달콤!
겨울철 입맛 없을 때 무생채 만들어 먹으면 입맛도 돌고,
마땅한 반찬거리가 없다면 무생채 를 한번 만들어 보세요.
이상으로 무생채 황금레시피 & 무생채 만드는법 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