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무화과 효능@무화과 먹는법 무화과 보관법

마루_2020 2018. 9. 8. 14:00
반응형

오늘은 무화과 효능


대하여 포스팅하겠습니다.


무화과는 꽃턱이 비대해져서 열매가 됐기 때문에 


겉에서는 꽃이 보이지 않아 무화과라고 합니다.


무화과의 원산지는 지금도 다수의 야생종이 


있는 소아시아와 아리비아 입니다.


 





재배역사는 기원전 3천년경의 수메르 왕조시대에


시작되었다고 하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과수로


알려져 있습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오디세우스>에도


수회에 걸쳐 기록돼 있습니다.


특히 <구약성서>에 의하면 아담과 이브가


금단의 열매를 따먹고 자신들의 벗은 몸을


나뭇잎으로 가린다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때 쓰인 나뭇잎이 바로 무화과이며


지혜를 상징하는 나무로 여기기도 합니다.


 





그래서 금단의 열매는 사과가 아니라


무화과라는 설이 나왔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무화과가 대부분 생산되고 있습니다.


무화과의 제철은 8월에서 11월 입니다.


단맛이 강해서 날로 먹거나 말려서 먹기도 하고


잼이나 젤리, 술, 양갱, 주스나 식초 등으로


가공해서 먹거나 요리의 식재료로도 쓰입니다.


무화과를 생과로 먹으면 아무맛이 나지 않아서


잼으로 만들어 먹습니다. 말린무화과는 참 맛있던데요.





무화과 효능


1. 펙틴이 풍부해 변비에 좋습니다.


2. 피신이라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많이 있어서 


육식을 하고 나서 무화과를 먹으면 소화에 좋습니다.



알칼리성 식품으로 강장제나 암,간장병 등을 치료하는


약으로 썼습니다. 민간에서는 소화불량,변비,각혈,신경통,


피부질환,빈혈,부인병 등에 약으로 씁니다. 


주산지에서는 생즙을 치질과 사마귀를 치료하는 데 


사용한다고 합니다.



무화과 보관법


무화과의 보관일은 5일정도로 오래 보관하기 


어려우므로 주로 말려서 보관합니다.






무화과 먹는법


무화과는 물로 씼게 되면 물기가 무화과 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히 씻은 후에는 물기를 완전히 없애든지, 


무화과의 표면을 마른 행주로 깨끗이 닦아서 먹습니다.


껍질째 그냥 먹어도 되지만, 


껍질을 제거하고 과육만 먹기도 합니다.


말린 것은 통째로 먹습니다.


 





이상으로 무화과 효능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