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사자성어 모음 알아보겠습니다.
사자성어는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관용구입니다.
알아두면 좋은 사자성어를 모았습니다.
사자성어 모음
청출어람(靑出於藍)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弟子)나 후배(後輩)가 스승이나 선배(先輩)보다
나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대기만성(大器晚成)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時間)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자포자기(自暴自棄)
절망(絕望)에 빠져
자신(自身)을 스스로 포기(拋棄)하고 돌아보지 아니함.
교각살우(矯角殺牛)
‘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잘못된 점(點)을 고치려다가 그 방법(方法)이나
정도(程度)가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금의환향(錦衣還鄕)
‘비단옷(緋緞-)을 입고 고향(故鄕)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出世)를 하여 고향(故鄕)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살신성인(殺身成仁)
자기(自己)의 몸을 희생(犧牲)하여 인(仁)을 이룸.
환골탈태(換骨奪胎)
‘뼈대를 바꾸어 끼고 태(胎)를 바꾸어 쓴다.’는 뜻으로,
고인(古人)의 시문(詩文)의 형식(形式)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手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전전긍긍(戰戰兢兢)
몹시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操心)함.
오월동주(吳越同舟)
서로 적의(敵意)를 품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된 경우(境遇)나
서로 협력(協力)하여야 하는 상황(狀況)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지란지교(芝蘭之交)
‘지초(芝草)와 난초(蘭草)의 교제(交際)’라는 뜻으로,
벗 사이의 맑고도 고귀(高貴)한 사귐을 이르는 말.
분골쇄신(粉骨碎身)
‘뼈를 가루로 만들고 몸을 부순다.’는 뜻으로,
정성(精誠)으로 노력(勞力)함을 이르는 말.
또는 그렇게 하여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짐.
호가호위(狐假虎威)
남의 권세(權勢)를 빌려 위세(威勢)를 부림.
여우가 호랑이(虎狼-)의 위세(威勢)를 빌려 호기(豪氣)를 부린다는 데에서 유래(由來)한다.
가렴주구(苛斂誅求)
세금(稅金)을 가혹(苛酷)하게 거두어들이고,
무리(無理)하게 재물(財物)을 빼앗음.
와신상담(臥薪嘗膽)
‘불편(不便)한 섶에 몸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怨讐)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읍참마속(泣斬馬謖)
큰 목적(目的)을 위하여
자기(自己)가 아끼는 사람을 버림을 이르는 말.
절차탁마(切磋琢磨)
‘옥(玉)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學問)과 덕행(德行)을 닦음을 이르는 말.
유비무환(有備無患)
미리 준비(準備)가 되어 있으면 걱정할 것이 없음.
일취월장(日就月將)
나날이 다달이 자라거나 발전(發展)함.
연목구어(緣木求魚)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到底)히 불가능(不可能)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어부지리(漁夫之利)
두 사람이 이해관계(利害關係)로 서로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익(利益)을 이르는 말.
상전벽해(桑田碧海)
‘뽕나무밭이 변(變)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世上-)의 변천(變遷)이 심(甚)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부화뇌동(附和雷同)
‘우레 소리에 맞춰 함께한다.’는 뜻으로,
줏대(主-) 없이 남의 의견(意見)에 따라 움직임.
함흥차사(咸興差使)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하거나 늦게 온 사람을 이르는 말.
형설지공(螢雪之功)
‘반딧불ㆍ눈과 함께 하는 노력(勞力)’이라는 뜻으로,
고생(苦生)을 하면서 부지런하고 꾸준하게 공부(工夫)하는 자세(姿勢)를 이르는 말.
갈등(葛藤)
칡과 등나무가 서로 얽히는 것과 같이,
개인(個人)이나 집단(集團) 사이에 목표(目標)나 이해관계(利害關係)가 달라
서로 적대시(敵對視)하거나 충돌(衝突)함.
모순(矛盾)
어떤 사실(事實)의 앞뒤,
또는 두 사실(事實)이 이치(理致)상(上) 어긋나서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관포지교(管鮑之交)
‘관중(管仲)과 포숙(鮑叔)의 사귐’이란 뜻으로, 우정(友情)이 아주 돈독(敦篤)한 친구(親舊) 관계(關係)를 이르는 말.
삼고초려(三顧草廬)
인재(人材)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勞力)함. 중국(中國) 삼국시대(三國時代)에, 촉한(蜀漢)의 유비(劉備)가 난양(南陽)에 은거(隱居)하고 있던 제갈량(諸葛亮)의 초옥(草屋)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
오매불망(寤寐不忘)
자나 깨나 잊지 못함.
마이동풍(馬耳東風)
‘동풍(東風)이 말의 귀를 스쳐 간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아니하고 지나쳐 흘려버림을 이르는 말.
죽마고우(竹馬故友)
‘대나무로 만든 말을 타고 놀던 벗’이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같이 놀며 자란 벗.
촌철살인(寸鐵殺人)
‘한 치의 쇠붙이로도 사람을 죽일 수 있다.’는 뜻으로,
간단(簡單)한 말로도 남을 감동(感動)하게 하거나 남의 약점(弱點)을 찌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인과응보(因果應報)
전생(前生)에 지은 선악(善惡)에 따라 현재(現在)의 행(幸)과 불행(不幸)이 있고,
현세(現世)에서의 선악(善惡)의 결과(結果)에 따라 내세(來世)에서 행(幸)과 불행(不幸)이 있는 일.
회자정리(會者定離)
만난 자(者)는 반드시 헤어짐. 모든 것이 무상(無常)함을 나타내는 말이다.
계란유골(鷄卵有骨)
‘달걀에도 뼈가 있다.’는 뜻으로,
운수(運數)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기회(機會)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을 이르는 말.
개과천선(改過遷善)
지난날의 잘못을 고치어 착하게 됨.
막역지우(莫逆之友)
‘서로 거스름이 없는 친구(親舊)’라는 뜻으로,
허물이 없이 아주 친(親)한 친구(親舊)를 이르는 말.
결자해지(結者解之)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기(自己)가 저지른 일은 자기(自己)가 해결(解決)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호연지기(浩然之氣)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元氣).
아전인수(我田引水 )
‘자기(自己) 논에 물 대기’라는 뜻으로,
자기(自己)에게만 이(利)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行動)함을 이르는 말.
군계일학(群鷄一鶴)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鶴)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人物)을 이르는 말.
교언영색(巧言令色)
‘말을 교묘(巧妙)하게 하고 얼굴빛을 꾸민다.’는 뜻으로,
아첨(阿諂)하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態度).
설상가상(雪上加霜)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難處)한 일이나 불행(不幸)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주경야독(晝耕夜讀 )
‘낮에는 농사(農事)짓고, 밤에는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어려운 여건(與件) 속에서도 꿋꿋이 공부(工夫)함을 이르는 말.
무릉도원(武陵桃源)
도연명(陶淵明)의 <도화원기(桃花源記)>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理想鄕)’, ‘별천지(別天地)’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백미(白眉)
‘흰 눈썹’이라는 뜻으로,
여럿 가운데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이나 훌륭한 물건(物件)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금상첨화(錦上添花)
‘비단(緋緞)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동병상련(同病相憐)
‘같은 병(病)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處地)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을 이르는 말.
오비이락(烏飛梨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뜻으로,
아무 관계(關係)도 없이 한 일이 공교(工巧)롭게도 때가 같아
억울(抑鬱)하게 의심(疑心)을 받거나 난처(難處)한 위치(位置)에 서게 됨을 이르는 말.
양두구육(羊頭狗肉)
‘양(羊)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보기만 그럴듯하게 보이고 속은 변변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간담상조(肝膽相照)
‘간과 쓸개를 내놓고 서로에게 내보인다.’는 뜻으로,
서로 속마음을 털어놓고 친(親)하게 사귐.
적반하장(賊反荷杖)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을 나무람을 이르는 말.
계륵(鷄肋)
‘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큰 소용(所用)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이르는 말.
권토중래(捲土重來)
어떤 일에 실패(失敗)한 뒤에 힘을 가다듬어
다시 그 일에 착수(着手)함을 비유(比喩ㆍ譬喩)하여 이르는 말.
역린(逆鱗)
임금의 노여움을 이르는 말.
용(龍)의 턱 아래에 거꾸로 난 비늘을 건드리면
용(龍)이 크게 노(怒)하여 건드린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반포지효(反哺之孝)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孝)’라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자란 후(後)에 어버이의 은혜(恩惠)를 갚는 효성(孝誠)을 이르는 말.
조강지처(糟糠之妻)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賤)할 때에 고생(苦生)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칠전팔기(七顚八起)
‘일곱 번 넘어지고 여덟 번 일어난다.’는 뜻으로,
여러 번 실패(失敗)하여도 굴하지 아니하고 꾸준히 노력(勞力)함을 이르는 말.
괄목상대(刮目相對)
‘눈을 비비고 상대편(相對便)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學識)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늚을 이르는 말.
청춘(靑春)
‘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이라는 뜻으로,
십(十) 대(代) 후반(後半)에서 이십(二十) 대(代)에 걸치는
인생(人生)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時節)을 이르는 말.
문전성시(門前成市)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집 문(門) 앞이 시장(市場)을 이루다시피 함을 이르는 말.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집안이 화목(和睦)하면 모든 일이 잘 된다는 말.
이심전심(以心傳心)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뜻이 통(通)함.
낙화유수(落花流水)
1.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2. 살림이나 세력(勢力)이 약(弱)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격물치지(格物致知)
실제(實際) 사물(事物)의 이치(理致)를 연구(硏究)하여 지식(知識)을 완전(完全)하게 함.
우이독경(牛耳讀經)
‘쇠귀에 경(經)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일석이조(一石二鳥)
‘돌 한 개를 던져 새 두 마리를 잡는다.’는 뜻으로,
동시(同時)에 두 가지 이득(利得)을 봄을 이르는 말.
안빈낙도(安貧樂道)
가난한 생활(生活)을 하면서도 편안(便安)한 마음으로 도(道)를 즐겨 지킴.
일거양득(一擧兩得)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利益)을 얻음.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조금 낫고 못한 정도(程度)의 차이(差異)는 있으나 본질적(本質的)으로는 차이(差異)가 없음을 이르는 말.
압권(壓卷)
여러 책(冊)이나 작품(作品) 가운데 제일(第一) 잘된 책(冊)이나 작품(作品).
등용문(登龍門)
‘용문(龍門)에 오른다.’는 뜻으로,
어려운 관문(關門)을 통과(通過)하여 크게 출세(出世)하게 됨.
또는 그 관문(關門)을 이르는 말.
이판사판(理判事判)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이 붙어서 된 말」로,
막다른 데 이르러 어찌할 수 없게 된 지경(地境)을 뜻함.
감언이설(甘言利說)
귀가 솔깃하도록 남의 비위(脾胃)를 맞추거나
이(利)로운 조건(條件)을 내세워 꾀는 말.
표리부동(表裏不同)
겉으로 드러나는 언행(言行)과 속으로 가지는 생각이 다름.
중과부적(衆寡不敵)
‘무리가 적으면 대적(對敵)할 수 없다.’는 뜻으로,
적은 수효(數爻)로 많은 수효(數爻)를 대적(對敵)하지 못함.
수어지교(水魚之交)
‘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關係)’라는 뜻으로,
아주 친밀(親密)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점입가경(漸入佳境)
시간(時間)이 지날수록 하는 짓이나 몰골이 더욱 꼴불견임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고장난명(孤掌難鳴)
‘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천재일우(千載一遇)
‘천(千) 년(年) 동안 단 한 번(番) 만난다.’는 뜻으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機會)를 이르는 말.
금란지교(金蘭之交)
친구(親舊) 사이의 매우 두터운 정(情)을 이르는 말.
절치부심(切齒腐心)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이다.’는 뜻으로, 몹시 분(憤)하여 이를 갈며 속을 썩임.
발본색원(拔本塞源)
좋지 않은 일의 근본(根本) 원인(原因)이 되는 요소(要素)를 완전(完全)히 없애 버려서
다시는 그러한 일이 생길 수 없도록 함.
근묵자흑(近墨者黑)
‘먹을 가까이하는 사람은 검어진다.’는 뜻으로,
나쁜 사람과 가까이 지내면 나쁜 버릇에 물들기 쉬움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유유자적(悠悠自適)
‘여유(餘裕)가 있어 한가(閑暇)롭고 걱정이 없는 모양(模樣)’이라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아무 속박(束縛) 없이 조용하고 편안(便安)하게 삶.
수구초심(首丘初心)
‘여우가 죽을 때에 머리를 자기(自己)가 살던 굴 쪽으로 둔다.’는 뜻으로,
고향(故鄕)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
일편단심(一片丹心)
‘한 조각의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진심(眞心)에서 우러나오는 변(變)치 아니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
용두사미(龍頭蛇尾)
‘용(龍)의 머리와 뱀의 꼬리’라는 뜻으로,
처음은 왕성(旺盛)하나 끝이 부진(不振)한 현상(現象)을 이르는 말.
후안무치(厚顔無恥)
‘얼굴이 두껍고 부끄러움이 없다.’는 뜻으로, 뻔뻔스러워 부끄러움이 없음.
오비삼척(吾鼻三尺)
‘내 코가 석 자’라는 뜻으로,
자기(自己) 사정(事情)이 급하여 남을 돌볼 겨를이 없음을 이르는 말.
유아독존(唯我獨尊)
세상(世上)에서 자기(自己) 혼자 잘났다고 뽐내는 태도(態度).
각골난망(刻骨難忘)
남에게 입은 은혜(恩惠)가 뼈에 새길 만큼 커서 잊히지 아니함.
자포자기(自暴自棄)
절망(絕望)에 빠져 자신(自身)을 스스로 포기(拋棄)하고 돌아보지 아니함.
교각살우(矯角殺牛)
‘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잘못된 점(點)을 고치려다가 그 방법(方法)이나 정도(程度)가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오월동주(吳越同舟)
서로 적의(敵意)를 품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된 경우(境遇)나
서로 협력(協力)하여야 하는 상황(狀況)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지란지교(芝蘭之交)
‘지초(芝草)와 난초(蘭草)의 교제(交際)’라는 뜻으로,
벗 사이의 맑고도 고귀(高貴)한 사귐을 이르는 말.
아비규환(阿鼻叫喚)
여러 사람이 비참(悲慘)한 지경(地境)에 빠져
울부짖는 참상(慘狀)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자승자박(自繩自縛)
‘자기(自己)의 줄로 자기(自己)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자기(自己)가 한 말과 행동(行動)에 자기(自己) 자신(自身)이 얽혀
곤란(困難)하게 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자가당착(自家撞着)
같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行動)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아니하고 모순(矛盾)됨.
화룡점정(畫龍點睛)
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重要)한 부분(部分)을
완성(完成)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감탄고토(甘呑苦吐)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자신(自身)의 비위(脾胃)에 따라서
사리(事理)의 옳고 그름을 판단(判斷)함을 이르는 말.
건곤일척(乾坤一擲)
‘주사위를 던져 승패(勝敗)를 건다.’는 뜻으로,
운명(運命)을 걸고 단판걸이(單---)로 승부(勝負)를 겨룸을 이르는 말.
동상이몽(同牀異夢)
‘같은 자리에 자면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이 행동(行動)하면서도 속으로는 각각(各各) 딴생각을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동문서답(東問西答)
‘동쪽을 묻는 데 서쪽을 대답(對答)한다.’는 뜻으로,
물음과는 전혀(全-) 상관(相關)없는 엉뚱한 대답(對答).
각자도생(各自圖生)
제각기(-各其) 살아 나갈 방법(方法)을 꾀함.
입춘대길(立春大吉 )
입춘(立春)을 맞이하여 길운(吉運)을 기원(祈願)하며
벽(壁)이나 문짝(門-) 따위에 써 붙이는 글귀(-句).
안하무인(眼下無人)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방자(放恣)하고 교만(驕慢)하여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풍전등화(風前燈火)
‘바람 앞의 등불(燈-)’이라는 뜻으로,
사물(事物)이 매우 위태(危殆)로운 처지(處地)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진퇴양난(進退兩難)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운 처지(處地).
등화가친(燈火可親)
‘등불(燈-)을 가까이할 만하다.’는 뜻으로,
서늘한 가을밤은 등불(燈-)을 가까이 하여 글 읽기에 좋음을 이르는 말.
난형난제(難兄難弟)
‘누구를 형(兄)이라 하고 누구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두 사물(事物)이 비슷하여 낫고 못함을 정(定)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등하불명(燈下不明)
‘등잔(燈盞) 밑이 어둡다.’는 뜻으로,
가까이에 있는 물건(物件)이나 사람을 잘 찾지 못함을 이르는 말.
주마간산(走馬看山)
‘말을 타고 달리며 산천(山川)을 구경한다.’는 뜻으로,
자세히 살피지 아니하고 대충대충 보고 지나감을 이르는 말.
식자우환(識字憂患)
「글자를 아는 것이 오히려 근심이 된다.」는 뜻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송구영신(送舊迎新)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동가홍상(同價紅裳)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紅--)’라는 뜻으로,
같은 값이면 좋은 물건(物件)을 가짐을 이르는 말.
심사숙고(深思熟考)
깊이 잘 생각함.
명약관화(明若觀火)
「불을 보는 것 같이 밝게 보인다.」는 뜻으로,
더 말할 나위 없이 명백(明白)함.
격세지감(隔世之感)
오래지 않은 동안에 몰라보게 변(變)하여 아주 다른 세상(世上)이 된 것 같은 느낌.
권모술수(權謀術數)
목적(目的)을 위(爲)해 남을 교묘(巧妙)하게 속이는 모략(謀略)이나 술수(術數).
일장춘몽(一場春夢)
‘한바탕의 봄꿈’이라는 뜻으로,
헛된 영화(榮華)나 덧없는 일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우유부단(優柔不斷)
결단력(決斷力)이 부족(不足)한 것.
고군분투(孤軍奮鬪)
후원(後援)이 없는 외로운 군대(軍隊)가 힘에 벅찬 적군(敵軍)과 맞서 온힘을 다하여 싸움.
또는 홀로 여럿을 상대(相對)로 싸움.
초지일관(初志一貫)
처음에 세운 뜻을 이루려고 끝까지 밀고 나감.
천고마비(天高馬肥)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하늘이 맑아 높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穀食)이 익는 가을철을 이르는 말.
견마지로(犬馬之勞)
‘개나 말 정도(程度)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忠誠)을 다하는 자신(自身)의 노력(勞力)을 낮추어 이르는 말.
입신양명(立身揚名)
출세(出世)하여 이름을 세상(世上)에 떨침.
지리멸렬(支離滅裂)
이리저리 흩어져 갈피를 잡을 수 없음.
학수고대(鶴首苦待)
학(鶴)의 목처럼 목을 길게 빼고 간절(懇切)히 기다림.
경거망동(輕擧妄動 )
‘가볍고 망령(妄靈)되게 행동(行動)한다.’는 뜻으로,
경솔(輕率)하여 생각 없이 망령(妄靈)되게 행동(行動)함. 또는 그런 행동(行動).
경국지색(傾國之色)
‘임금이 혹(惑)하여 나라가 기울어져도 모를 정도(程度)의 미인(美人)’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美人)을 이르는 말.
솔선수범(率先垂範)
앞장서서 하여 모범(模範)을 보이는 것.
동분서주(東奔西走)
‘동쪽(東-)으로 뛰고 서쪽(西-)으로 뛴다.’는 뜻으로,
사방(四方)으로 이리저리 몹시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파죽지세(破竹之勢)
‘대를 쪼개는 기세(氣勢)’라는 뜻으로,
적(敵)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쳐들어가는 기세(氣勢)를 이르는 말.
희로애락(喜怒哀樂)
기쁨과 노여움과 슬픔과 즐거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사상누각(沙上樓閣)
‘모래 위에 세운 누각(樓閣)’이라는 뜻으로,
기초(基礎)가 튼튼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할 일이나 물건(物件)을 이르는 말.
외유내강(外柔內剛)
겉으로는 부드럽고 순(順)하게 보이나 속은 곧고 굳셈.
임기응변(臨機應變)
그때그때 처한 사태(事態)에 맞추어
즉각 그 자리에서 결정(決定)하거나 처리(處理)함.
부창부수(夫唱婦隨)
남편(男便)이 주장(主掌)하고 아내가 이에 잘 따름.
또는 부부(夫婦) 사이의 그런 도리(道理).
인지상정(人之常情)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는 보통(普通)의 마음.
도원결의(桃園結義)
의형제(義兄弟)를 맺음을 이르는 말.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 나오는 말로
유비(劉備), 관우(關羽), 장비(張飛)가 도원(桃園)에서 의형제(義兄弟)를
맺은 데에서 유래(由來)한다.
지피지기(知彼知己)
적(敵)의 사정(事情)과 나의 사정(事情)을 자세(仔細ㆍ子細)히 앎.
백중지세(伯仲之勢)
서로 우열(優劣)을 가리기 힘든 형세(形勢).
극기복례(克己復禮)
자기(自己)의 욕심(欲心ㆍ慾心)을 누르고 예의범절(禮儀凡節)을 따름.
배은망덕(背恩忘德)
남에게 입은 은덕(恩德)을 잊고 배반(背反)함.
소탐대실(小貪大失)
작은 것을 탐(貪)하다가 큰 것을 잃음.
언감생심(焉敢生心)
‘어찌 감(敢)히 그런 마음을 품을 수 있겠냐.’는 뜻으로,
전혀 그런 마음이 없었음을 이르는 말.
가담항설(街談巷說)
거리나 항간(巷間)에 떠도는 소문(所聞).
오리무중(五里霧中)
‘오(五) 리(里)나 되는 짙은 안개 속에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 대(對)하여 방향(方向)이나 갈피를 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권선징악(勸善懲惡)
착한 행실(行實)을 권장(勸奬)하고 악(惡)한 행실(行實)을 징계(懲戒)함.
승승장구(乘勝長驅)
싸움에 이긴 형세(形勢)를 타고 계속(繼續) 몰아침.
만수무강(萬壽無疆 )
아무런 탈 없이 아주 오래 삶.
거두절미(去頭截尾)
「머리와 꼬리를 잘라버린다.」는 뜻으로,
앞뒤의 잔사설을 빼놓고 요점(要點)만을 말함.
불철주야(不撤晝夜)
어떤 일에 몰두(沒頭)하여 조금도 쉴 사이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아니함.
노심초사(勞心焦思)
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움.
불구대천(不俱戴天)
‘하늘을 함께 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이 세상(世上)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큰 원한(怨恨)을 가짐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주마가편(走馬加鞭)
‘달리는 말에 채찍질한다.’는 뜻으로,
잘하는 사람을 더욱 장려(奬勵)함을 이르는 말.
십시일반(十匙一飯)
‘밥 열 술이 한 그릇이 된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조금씩 힘을 합(合)하면 한 사람을 돕기 쉬움을 이르는 말.
혼비백산(魂飛魄散)
‘혼백(魂魄)이 어지러이 흩어진다.’는 뜻으로,
몹시 놀라 넋을 잃음을 이르는 말.
분서갱유(焚書坑儒)
‘책을 불태우고 선비를 생매장(生埋葬)하여 죽인다.’는 뜻
용호상박(龍虎相搏)
‘용(龍)과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강자(強者)끼리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
혹세무민(惑世誣民)
세상(世上)을 어지럽히고 백성(百姓)을 속이는 것.
측은지심(惻隱之心)
사단(四端)의 하나로, 남의 불행(不幸)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
수수방관(袖手傍觀)
‘팔짱을 끼고 보고만 있다.’는 뜻으로,
간섭(干涉)하거나 거들지 아니하고 그대로 버려둠을 이르는 말.
애매모호(曖昧模糊)
사물(事物)의 이치(理致)가 희미(稀微)하고 분명(分明)치 않음.
침소봉대(針小棒大)
「바늘 만한 것을 몽둥이 만하다고 말함.」이란 뜻으로,
곧, 작은 일을 크게 과장(誇張)하여 말함을 이름.
진수성찬(珍羞盛饌)
푸짐하게 잘 차린 맛있는 음식.
황당무계(荒唐無稽)
‘허황(虛荒)되고 근거(根據)가 없다.’는 뜻으로,
말이나 행동(行動)이 터무니 없고 근거(根據)가 없음.
정저지와(井底之蛙)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세상(世上) 물정(物情)에 어둡고 시야(視野)가 좁음을 나타낸다.
토사구팽(兔死狗烹)
‘토끼가 죽으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必要) 없게 되어
주인(主人)에게 삶아 먹히게 된다.’는 뜻으로,
필요(必要)할 때는 쓰고 필요(必要) 없을 때는
야박(野薄)하게 버리는 경우(境遇)를 이르는 말.
일일삼추(一日三秋 )
‘하루가 삼(三) 년(年) 같다.’는 뜻으로,
몹시 애태우며 기다림을 이르는 말.
백발백중(百發百中)
‘백(百) 번(番) 쏘아 백(百) 번(番) 맞힌다.’는 뜻으로,
총(銃)이나 활 따위를 쏠 때마다 겨눈 곳에 다 맞음을 이르는 말.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제철음식 주꾸미 두릅 꽃게 유채나물 겨울초 (1) | 2024.03.25 |
---|---|
4월 탄생화 4월 탄생화 꽃말 꽃처럼 아름다운 우리들의 삶!! (0) | 2024.03.25 |
숙취해소법 숙취 해소에 좋은 음식 숙취해소 (2) | 2024.03.21 |
늘보리 효능 보리 종류 쌀보리 찰보리 늘보리 겉보리 (0) | 2024.03.21 |
꽃말모음 튤립 꽃말 수국 꽃말 안개꽃 꽃말 해바라기 꽃말 (3) | 2024.03.19 |
명상하는 법 명상음악 명상 효과 내면의 평화 찾기 (0) | 2024.03.18 |
알룰로스 효능 알룰로스 부작용 설탕 대신 알룰로스 어떨까? (0) | 2024.03.18 |
흑염소 효능 흑염소 부작용 흑염소 먹어도 좋을까? (1) | 2024.03.15 |